본문 바로가기

STUFF

구글의 모토로라 인수 , 그리고 우리나라

반응형

정말 충격이었습니다. 이토록 똑똑한 인수합병이 있을 수 있을까?? , 주식같은건 하지 않은 저 이지만 왜 충분히 예상가능한 일을 예측조차 하지 못하고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가지고 있는 것에 비해서 현재 상황이 초라한 모토로라와 , 하드웨어쪽에 뿌리가 없어  특허들이 필요했던 구글이 13조라는 모토로라의 예전 명성에 비해서는 굉장히 초라한 가격에 거래가 되었다고 하니 이제 세계 모바일 디바이스 시장은 다시 안갯속을 걷는 형국입니다. 이외에도 HP 의 팜OS 하드웨어 포기 및 LG,삼성의 안드로이드 스토리 등 몇가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풀어 보려고 합니다.


구글의 모토로라인수 , 나머지 업체들 하청업체로 전락??

 



구글은 모토로라 인수이후 안드로이드 제조 업체들을 달래기에 나선 형국입니다. 광범위한 모토로라의 특허를 이용해 애플과의 소송전쟁에 방어하기 위한 취지로 인수를 했다고 하지만  삼성 ,LG , HTC 등은 마냥 편한맘을 보이지는 않을 듯 합니다. 특히 HTC 는 안드로이드 1세대 레퍼런스폰  , 삼성은 2세대 레퍼런스폰 , LG 는 보급형 레퍼런스폰이 될 뻔 했던 ;;( 옵티머스 원) 기기들을 만든 업체들로써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위해 서로 윈윈하는 존재들 입니다.


많이들 아시다 시피 안드로이드의 성공은 운영체제가 타 운영체제보다 뛰어났다기 보다는 구글의 서비스와 브랜드파워 ,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징 , 무료(일정부분) , 그리고 무엇보다 통신사들의 적극적 지원(자신들의 소프트웨어 탑재 가능 및 앱스토어 수익 배분) 입니다. 그렇기에 반애플 전선을 펼치자 하는 많은 이들의 지지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구글의 첫번째 레퍼런스폰 넥서스원 , 사실 많이 팔리지는 못했다;;

그런데 구글이 이 많은것들을 버리고 모토로라만을 위한 안드로이드로 탈바꿈한다?? 그럴 일은 절대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레퍼런스폰의 지위를 모토로라가 독점적으로 맡을 순 있지만 지금까지 레퍼런스폰이 그다지인기가 많지 않았던 점과 하드웨어에서 극명하게 갈리는 안드로이드 폰의 성능을 생각한다면 구글이 머리에 총 맞지 않은 이상 모토로라 만의 안드로이드로 가는 일은 절대 없을것으로 보입니다. 어떻게 만들어 놓은 시장인데 스스로 광고수익을 포기하고 어찌보면 하향산업인 단말기 사업에 뛰어든다는 것은 자살행위이지요. 
 

구글이 광고시장에서 벌어들이는 돈은 상상을 초월합니다.

 

하지만 기업들은 어느정도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특히 안드로이드에 올인하고 있는 팬택 같은 업체는 더욱 더 그러할 것으로 보이네요. 언론에서는 다양한 이야기 들을 쏟아내고 있으며 이에 정부에서는 540억원의 지원으로 국내형 운영체제 까지 만든다고 합니다.

심비안, 미고, Web OS 가 성능이 부족하여 사업을 접고 있을까?? 

 

인텔과 LG 의 합작으로 탄생한 meego 운영체제 태블릿폰(5인치) 
성능에 상관없이 시장성을 이유로 출시되지 못했다.


뭐 많은 분들이 이야기 하는 스마트폰 생태계 이야기는 꺼내지 않겠습니다. 부제목에서 언급한 심비안 ,미고 , 그리고 이번에 HP 에서 디바이스 생산을 중단한 운영체제 WEB OS 까지 이들이 과연 무엇때문에 경쟁력을 잃었을까요? 운영체제의 성능이 부족해서 라고는 말 할수 없는 부분입니다.

인텔의 지원을 받고 시작한 미고 와 HP 라는 거대기업을 만난 PALM 의 전통의 강자 WEB OS 가 성능면에서 밀렸다기 보다는 시장 점유율에서 밀렸기 때문에 경쟁력을 잃었다 할 수 있습니다. 아직도 세계 2위의 플랫폼인 심비안도 오픈소스의 개념을 가지고 유럽표준까지 제정되어 있지만 노키아 이외엔 아무도 선택하지 않고 노키아 마저도 MS 의 윈도폰7 으로 떠났습니다.


관련글 : 스마트폰 운영체제에 대해서 알아보자!!(오래된 글 입니다.)

지금 세계시장에서 모바일 운영체제가 절대로 부족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 정부는 새로운 운영체제로 풀어가려고 합니다. 540억이라는 막대한 세금을 지출하면서 말이지요. 그리고 540억원이라는 돈으로 수십년의 운영체제 제작 노하우를 따라 갈 수도 없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정권이 바뀌면 많은 일들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프로젝트 역시 생명을 보장받지 못합니다. 모바일 시장의 슈퍼갑들인 이동통신사들도 세계적으로 통합 운영체제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만 제 생각엔 이 역시도 큰 파급력을 갖진 못할것으로 보입니다.

피쳐폰에 가까운 바다폰도 나름 선방하고 있다 . 물론 유럽에서는 말이다.

저는 삼성의 바다OS 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박수를 쳐주고 싶습니다. 하루아침에 끝날 운영체제 프로젝트가 아니기에 하나의 단체에서 주도적으로 만들어 가야 계속 조금이나마 발전 할 수 있습니다. 성공과 실패를 떠나서 삼성의 계속적인 도전은 환영하고 싶습니다. 뭐 개발자들에게 상금으로 100억씩 퍼다줘도 영국의 축구팀 첼시fc 서포팅 비용에 비하면 세발의 피인 회사이니 이런 투자는 연구개발비 정도로 생각해도 될 듯 싶네요. 어짜피 자사의 플래그쉽폰(회사의 대표폰 , ex-겔럭시2) 이 바다OS 로 나올일은 15년 후로 생각 해야지 않을까요 ;;  뭐 몇년전에 삼성과 엘지에 안드로이드사를 인수할 기회가 있었다고 하였지만 어짜피 그때당시 안드로이드가 완성도도 높지 않았었고 어짜피 구글이었기 때문에 안드로이드가 이만큼 올 수 있었기에 그때 안드로이드사를 사고 못사고는 현재는 중요하진 않은것 같습니다.

관련글 :  삼성 바다OS 에 대한 나의 긍정적인 생각!!(오래된 글 입니다.)


하지만 정부의 새로운 운영체제 제작은 반대를 하고 싶습니다. 사실 540억원으로 공공기관 홈페이지 정비에 나서는건 어떨런지요.


5년전에도 , 지금도 달라지지 않는 정부 홈페이지들

아직도 2000년대 초반에 나온 익스플로러6 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active x 로 도배되어있는 공공기관의 홈페이지등을 새롭게 정비하여 어떤 pc/모바일 운영체제를 사용하든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는 환경(웹표준 준수)을 조성하는 것이 운영체제를 만드는 일 보다는 좀 더 정부가 해야 할 일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한 예로 실종아이들 찾기 사이트만 가더라도 액티브x 없이는 사진조차 볼 수 없는 곳이 바로 대한민국 입니다.

아무리 모바일이 대세라고 모바일 만을 바라보고 정책을 짜는 일이 전시행정으로 보이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웹표준화를 진행하는 것이 차라리 운영체제나 홍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작보다 좀 더 영양가 있는 일이라 생각이 드네요. 어플리케이션 역시 애플이나 구글의 플랫폼 사용자만이 이용 가능한 것들이니 말이죠. 예를들어 독일 정부에서는 보안을 이유로 익스플로러6 사용을 자제권고 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일들이 더욱더 정부에서 해야하는 일이 맞는것 같습니다.


국내업체?? 어짜피 길은 있다.


요즘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난리도 아닙니다. 하청업체로 전락 한다느니 , 결국 조립공장이 된다느니....
그런데 솔직히 이야기해서 왜 안드로이드 진영에서도 국내업체들이 선전하고 있을까요?? 물론 LG 는 좀 위기이긴 합니다만 같은 운영체제를 설치하고도 왜 세계시장에서 선전하고 있을까요?? 결국은 누가 얼마나 고성능의 제품을 싸게 생산하느냐가 성공요인입니다.

삼성은 아몰레드 하나로도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었고 , LG 역시도 IPS 패널로 어느정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듯 합니다. 그렇다면 왜 많은 회사들이 비싼돈을 주고도 한국의 부품을 쓰려할까요?? 그만큼 하드웨어 적으로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뜻 입니다. 저는 이러하는 점들을 너무 낮춰보는듯 해서 조금 안타깝기도 합니다.



윈도폰7 도 7.5 버전에서 언어지원만 강력해지면 분명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안타까운 이야기지만 세탁기부터 휴대폰까지 만드는 회사에서 소프트웨어같은 창의적인 일까지 과연 잘 할수 있을까 싶기도 합니다. 어짜피 플랫폼 이라는것은 절대다수의 지지를 받아야 운영이 가능합니다. 국내에서 아무리 좋은 운영체제를 만들다 한들 절대다수가 이용하는 외국 플랫폼과의 경쟁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만약 안드로이드가 비공개로 전향한다 하더라도(절대 그렇지 않을것이라 생각 합니다만은) 길은 있습니다. 분명 리눅스 기반의 새로운 운영체제가 만들어 질 수도 있고 또한 윈도폰7 진영에 참여하면 됩니다. 그리고 삼성처럼 자신들만의 운영체제를 서서히 키워가는것도 장기적으로 좋을 수 있습니다.

분명 세계모바일 시장이 안갯속으로 들어가고 있긴 하지만 솔직히 위기라고 떠드는거 사실 좀 오버스럽습니다;;
아무 기반이 없는 2009년 말에서 2010년 초 때에서도 이만큼 성장한 우리기업들 입니다. 분명 전시행정 없이도 잘 이겨내리라 생각합니다. 

 
반응형